소액 결제 해킹을 당했다면? 즉시 대처 매뉴얼
휴대폰 소액 결제 피해는 시간과의 싸움입니다. 해킹이나 스미싱 등으로 소액 결제가 발생했음을 인지한 즉시, 신속하게 대처해야 추가 피해를 막고 결제 취소 및 환불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집니다.
피해를 확인한 후에는 아래의 2단계 매뉴얼을 따라 즉시 조치하세요.
1단계: 통신사에 즉시 신고 및 결제 차단 요청 (골든타임)
추가 결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막는 것이 최우선입니다. 자신의 통신사 고객센터로 전화하여 피해 사실을 알리고 모든 소액 결제 기능을 즉시 차단해야 합니다.
| 통신사 | 고객센터 번호 (휴대폰에서 국번 없이) | 주요 조치 요청 사항 |
|---|---|---|
| SKT | 114 또는 1599-0011 | 소액 결제 원천 차단 및 피해 결제 내역 확인 및 취소 요청 |
| KT | 114 또는 1588-0010 | 소액 결제 원천 차단 및 피해 결제 내역 확인 및 취소 요청 |
| LG U+ | 114 또는 1544-0010 | 소액 결제 원천 차단 및 피해 결제 내역 확인 및 취소 요청 |
피해 내역 증거 확보: 피해 내역이 담긴 문자 메시지(스미싱 문자 등), 결제 알림 내역, 상세 요금 내역 등을 캡처하거나 보관해야 합니다. 이는 경찰 신고 및 환불 요청 시 필수적인 증거 자료가 됩니다.
2단계: 경찰(사이버 수사대) 신고 및 '사실확인원' 발급
피해 사실을 입증하고 법적인 구제를 받기 위해서는 경찰에 신고하여 **'사건사고 사실확인원'**을 발급받아야 합니다. 이 확인서가 있어야 통신사와 결제대행사에 정식으로 피해 보상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.
- 사이버범죄 신고 시스템 접속: 경찰청에서 운영하는 사이버범죄 신고 시스템을 통해 온라인으로 신고서를 미리 작성할 수 있습니다.
경찰청 사이버범죄 신고 시스템 (ECRM): https://ecrm.police.go.kr/minwon/main - 경찰서 방문: 온라인으로 접수한 후, 신분증, 확보한 피해 증거 자료 및 통신사에서 발급받은 소액결제 확인서(필요시)를 지참하고 가까운 경찰서(사이버수사팀 또는 민원실)를 방문하여 정식으로 신고합니다.
- '사건사고 사실확인원' 발급: 경찰에 신고 및 조사가 완료되면, 사건사고 사실확인원을 발급받아 통신사 또는 결제대행업체에 제출하고 환불을 요청합니다.
📌 추가 조치 사항
- **악성 앱 삭제:** 스미싱 링크를 눌러 악성 앱이 설치되었다고 의심되면, 모바일 백신으로 검사 후 즉시 삭제하고, 휴대폰을 초기화하는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.
- **명의도용 방지 서비스:** 향후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해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(KAIT)의 명의도용 방지 서비스 **'엠세이퍼(Msafer)'**에 접속하여 본인 명의로 개통된 다른 서비스가 없는지 확인하고, 추가 개통을 차단하는 서비스를 신청하세요.
엠세이퍼(Msafer) 바로가기: https://www.msafer.or.kr/ - **소액결제 중재:** 통신사와의 처리 과정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, **이동전화결제 중재센터(1644-2367)**를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.
